"기자들이 (하)은주에게 한국으로 돌아올 수 없느냐고 물어봐 주세요. 혹시 압니까. 마음이 흔들릴지…."
한·일여자프로농구 챔피언들이 맞붙은 23일 장충체육관에서 만난 한국여자농구연맹(WKBL) 관계자는 이런 부탁을 했다. 하은주(202㎝)의 일본 귀화를 막기 위해 백방으로 뛰었고, 하은주가 다시 돌아오기를 애타게 바라는 WKBL의 입장에서 보면 무리한 부탁은 아니었다. 그러나 한국이 버리고, 일본이 키운 하은주의 입장에서 보면 꽤 무리한 부탁이다.
동생 하승진만큼이나 하은주도 어릴 적부터 유난히 키가 컸지만 그것은 ‘은총’이 아니라 ‘장애’에 가까웠다. 키만 크고 발이 느렸기 때문에 놀림을 당했고, 무릎이 아파 운동을 그만두려 했을 때 학교측은 다시는 농구를 하지 않겠다는 각서까지 요구했다. 커피를 먹으면 키가 안 큰다는 얘기를 듣고 몰래 커피 가루를 퍼먹기도 했다고 한다. 일본에서 활동하던 한국 지도자들이 이런 하은주를 데려갔다. 하은주는 체계적인 관리를 받으며 농구선수로서 무럭무럭 컸고, 교사 자격증까지 땄다.
"100년에 한번 나올까 말까 한 선수가 일장기를 달고 뛰는 모습을 어떻게 보고만 있을 수 있느냐."는 항변도 이해가 된다.
그러나 우리의 현실을 냉정하게 보자. 며칠 전 바로 그 장충체육관에서 여중생농구대회가 열렸다. 어느 팀 가릴 것 없이 일률적으로 짧게 자른 머리 모양은 남자인지 여자인지 조차 구분할 수 없을 정도였다.
코치들의 불호령에 슬금슬금 눈치를 살피며 무표정한 얼굴로 기계처럼 뛰기만 하는 게 우리 어린 선수들의 모습이다.
하은주처럼 드러나지 않았을 뿐 많은 선수들이 일본으로 건너갔고, 지금도 일본행을 계획하고 있다. 하은주의 U턴에 매달리기보다는 ‘제2의 하은주’가 생기지 않도록 우리의 척박한 환경을 바꾸는 게 먼저 아닐까.
by 서울신문 이창구 기자